2025년 5월 20일 코스닥에 상장한 바이오비쥬. 공모가, 청약 경쟁률, 상장 후 주가 흐름, 기업의 핵심 기술과 시장성까지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.

청약 경쟁률 1133:1, 바이오비쥬 공모주 이슈 총정리
기업 개요 및 설립 배경
“진단은 눈으로 시작되지만, 기술로 완성된다.”
바이오비쥬는 2018년에 설립된 의료기기 전문 기업으로, 피부 진단 내시경, 고해상도 영상 분석 장비, 그리고 피부용 스킨부스터와 필러 제품을 개발·생산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.
특히 만성 피부질환, 미용 의학의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의료-미용 경계산업의 접점에서 독자적인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 강점입니다.



공모주 청약 성과 및 상장 데이터 분석
항목 내용
| 공모가 | 9,100원 |
| 청약일정 | 2025년 5월 8~9일 |
| 청약경쟁률 | 1,133.52 : 1 |
| 증거금 | 약 4조 229억 원 |
| 상장일 | 2025년 5월 20일 |
| 상장주관사 | 대신증권 |
| 종목코드 | 489460 |
“공모는 시작이 아니다. 투자자에게는 리스크의 첫 페이지다.”
상장 이후 주가 흐름과 주요 이슈
- 상장일 시초가: 공모가 대비 100% 상승인 18,200원 형성
- 종가 기준 상승률: 25,850원 → 184.07% 상승 마감
- 단기 조정: 이후 단기 조정 국면 진입 (5월 22일 기준 18,760원)
상장 당일 강세는 청약 흥행과 시장 기대감, 의료기기 섹터 순환매 수급에 의한 결과로 분석됩니다.



핵심 제품 및 기술력 정리
제품 설명 특징
| 피부 내시경 | 고해상도 이미지 기반 피부 상태 진단 | 의료기관 납품 비중 ↑ |
| 스킨부스터 | 피부 재생·보습 주사 | 안티에이징 시장 겨냥 |
| HA 필러 | 히알루론산 기반 필러 | 미용·성형 외과 대상 공급 |
| 유럽 CE 인증 제품 | 필러, 진단기기 | 글로벌 유통망 확보 시도 중 |
“의료기기에서 가장 무서운 경쟁자는, 기술보다 신뢰다.”
시장성 분석: 왜 지금 바이오비쥬인가?
- 고령화 진입 본격화: 피부 재생과 노화 관련 의료 수요 폭증
- 비침습 진단 확대: 고통 없는 진단 방식에 대한 시장 선호 증가
- 해외 수출 기회: CE 인증 기반 유럽 시장 진출 가속화 가능성
- K-뷰티 산업과의 융합: 미용과 치료를 결합한 시장 확장성 확보



“K-뷰티가 화장대를 점령했다면, 바이오의료는 피부 속을 점령한다.”
리스크 요인 및 유의사항
리스크 항목설명
| 주가 변동성 | 상장 초기 급등 후 단기 조정 가능성 상존 |
| 경쟁 심화 | 국내외 의료기기 기업 다수 존재 |
| 인증·규제 리스크 | 유럽/미국 규제 강화 가능성 존재 |
| 실적 기반 제한 | 아직 대규모 수익 안정화 단계 아님 |
향후 전망 및 투자 시 고려사항
-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판매 전략이 핵심입니다.
- 2026년 이후 미국 FDA, 중국 CFDA 인증 취득 계획도 검토되고 있으며, 이 경우 단기 주가 모멘텀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- 기업 내부적으로는 R&D 인력 보강과 글로벌 유통 파트너십 체결이 주요 전략입니다.
요약표: 바이오비쥬 투자 핵심 정리
항목 정보
| 상장일 | 2025년 5월 20일 |
| 공모가 | 9,100원 |
| 청약 경쟁률 | 1,133:1 |
| 주요 제품 | 피부진단기, 필러, 스킨부스터 |
| 기술 인증 | CE, 국내 인증 완료 |
| 주가 흐름 | 첫날 184% 급등 → 단기 조정 구간 |
| 투자포인트 | 고령화/비침습 수요 기반, 수출 확장성 |